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

고유값 분해와 대각화

Chapter 4 : Eigendecomposition and Diagonalization

Edited by / 나경훈 (rudgnsdl06) rudgnsdl06



대각화

대각행렬(Diagonal matrix)은 행렬의 대각성분이 아닌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이다.

\[D=\left[\begin{array}{lll} c_1 & \ldots & 0 \\ \vdots & \ddots & \vdots \\ 0 & \ldots & c_n \end{array}\right]\]

대각행렬은 행렬식, 제곱, 역행렬 등의 계산이 용이하다.

\[det(D) = \sum_{i=1}^{n} c_i\] \[D^k = D=\left[\begin{array}{lll} c_1^k & \ldots & 0 \\ \vdots & \ddots & \vdots \\ 0 & \ldots & c_n^k \end{array}\right]\] \[D^{-1} = D=\left[\begin{array}{lll} \frac{1}{c_1} & \ldots & 0 \\ \vdots & \ddots & \vdots \\ 0 & \ldots & \frac{1}{c_n} \end{array}\right]\]

대각행렬의 성질을 사용하기 위해 어떤 행렬을 대각화(diagonalization)할 수 있다.

\[D = P^{-1}AP\]

행렬이 대각화가 가능(Diagonalizable)하기 위해서는

  1. 행렬 $A$가 정사각행렬이다.
  2. 행렬 $A$에 대해 $D=P^{-1}AP$ 꼴을 만족하는 가역행렬(Invertible matrix) $P$가 존재한다.

$P$ is invertible == $P$ has full rank == $ \boldsymbol{ {p_i} }$ form a basis of $R^n$

대각화의 계산 과정을 살펴보자.

대각행렬 $D$와 가역행렬 $P$에 대해서

\[P = \left[\begin{array}{lll} \mid & & \mid \\ \bold{p_1} & \ldots & \bold{p_n} \\ \mid & & \mid \end{array}\right]\] \[D = \left[\begin{array}{lll} \lambda_1 & & 0 \\ & \ddots & \\ 0 & & \lambda_n \end{array}\right]\]

대각화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.

\[AP = PD \\ A\left[\begin{array}{lll} p_1 & \ldots & p_n \end{array}\right] = \left[\begin{array}{lll} p_1 & \ldots & p_n \end{array}\right] \left[\begin{array}{lll} \lambda_1 & & 0 \\ & \ddots & \\ 0 & & \lambda_n \end{array}\right] \\ \left[\begin{array}{lll} Ap_1 & \ldots & Ap_n \end{array}\right] = \left[\begin{array}{lll} \lambda_1 p_1 & \ldots & \lambda_np_n \end{array}\right]\]

즉 $P$의 모든 열벡터 $\bold{p_i}$와 대각행렬의 원소 $\lambda_i$에 대해 아래 식을 만족한다.

\[A\bold{p_i} = \lambda_i\bold{p_i}\]

이 등식은 이전 장에서 살펴보았던 고유방적식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.

따라서 행렬 $A$의 고유벡터를 열벡터로 하는 행렬 $P$, 고유값을 대각원소로 하는 대각행렬 $D$를 통해 대각화 과정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.

행렬 $A$에 대각화를 적용하여 분해하는 방식을 고유값분해(eigendecomposition)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.

고유값분해 역시 위의 대각화 가능 조건에서처럼 행렬의 eigenvector를 열벡터로 갖는 행렬 $P$가 가역행렬이어야한다.

\[A = PDP^{-1}\]

구하는 법

  1. 행렬 $A$의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구한다.
\[A = \begin{bmatrix} 5 & -2 \\ -2 & 5 \end{bmatrix}\] \[det(A-\lambda I) =det( \begin{bmatrix} 5-\lambda & -2 \\ -2 & 5-\lambda \end{bmatrix}) = \lambda^2-10\lambda+21=0\] \[\lambda_1 = 7,\; \lambda_2=3\] \[A\bold{p_1} = 7\bold{p_1}, \; A\bold{p_2} = 3\bold{p_2}\] \[\bold{p_1} = \begin{bmatrix} 1 \\ -1 \end{bmatrix}, \; \bold{p_2} = \begin{bmatrix} 1 \\ 1 \end{bmatrix}\]
  1. 고유벡터를 열벡터로 하는 행렬 $P$의 계수를 확인하여 행렬 $A$가 대각화 가능한지 확인한다.
\[P= [\textbf{p_1}\;\bold{p_2}] = \begin{bmatrix} 1 & 1 \\ -1 & 1 \end{bmatrix}\]
  1. 대각행렬 $D$를 구하여 A를 고유값분해한다.
\[D = P^{-1}AP = \begin{bmatrix} 7 & 0 \\ 0 & 3 \end{bmatrix}\] \[A = \begin{bmatrix} 5 & -2 \\ -2 & 5 \end{bmatrix} = PDP^{-1} = \begin{bmatrix} 1 & 1 \\ -1 & 1 \end{bmatrix}\begin{bmatrix} 7 & 0 \\ 0 & 3 \end{bmatrix}\begin{bmatrix} \frac{1}{2} & \frac{-1}{2} \\ \frac{1}{2} & \frac{1}{2}\end{bmatrix}\]

기하학적 해석

$A=PDP^{-1}$

행렬(선형변환) $A$를 diagonalizing 하는 것 = 다른 basis로 선형변환을 표현 하는 것 ($A$의 eigenvector를 basis로 하는 …)

  • 선형변환 A
  • P : eigenbasis to standard basis
  • D : scaling